자료집

[스크랩] 볼트-V, 암페어-A, 와트-W

스머프. 2016. 10. 28. 17:44

볼트-V, 암페어-A, 와트-W

V는 전압을 말한답니다. 흔히 배터리가 1.5V, 가정용전압이 220V 라고 말하죠?
이 전압을 말하는 것입니다.

V가 크다는 것은 압력이 세다는 것과 같은 개념입니다. 그래서 압력의 (
)자를 써서 전압이라고 하죠.

A는 전류를 말하죠. 전류가 크다는 것은 많은 양의 전기가 전선에 흐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흐른다는 의미의 (
)자를 써서 전류라고 한답니다.

추가로 저항이라는 개념도 알면 도움이 됩니다.

같은 저항에 같은 전압을 걸면 전류는 같죠. 그러나 같은 저항에 다른 전압을 걸면 큰 전압을 건 저항쪽에 많은 전류가 흐른답니다. 같은 수도관에 수압이 셀수록 많은 물이 흐르는 것과 같죠.

W는 전력을 의미하는 말로 전압에 전류를 곱한 값입니다. 힘력(
)자를 써서 전력이라 하지요. 전력이 크면 힘이 세다는 짐작을 할 수 있겠죠?

V가 크다해도 A가 작으면 힘이 셀수가 없죠. 그래서 V만으로 에너지를 나타낼 수 없고 A만 크다고 해도 V가 작다는 것은 전류가 거쳐오면서 어떤 일을 하지 않았다는 뜻이 되므로 에너지를 나타낼 수 없습니다.

물이 흐르면 물레방아 같은 것을 돌려야 힘을 쓴 것이 되니까요.
같은 물이 흘러도 물레방아를 한개 돌렸나 두개 돌렸나에 따라 힘을 많이 썼나 적게 썼나가 달라지죠?

물이 높은 곳에서 흐를 수록 물레방아를 많이 돌릴 수 있겠죠.

물이 높은 곳에 있으면 물의 압력이 높아지므로 이것은 전압(V)가 커야만 가능합니다.

물이 높은 곳에서 떨어져 압력이 세다 해도 물의 양이 작으면 물레방아가 힘차게 못 돌겠죠?

그래서 전압(V)와 전류(A)를 곱해서 전력(W)을 얻게 됩니다

예를 들어 헤어드라이기에 5A의 전류가 흐른다면 가정용 전압이 220라 했을 때
헤어드라이기의 소비전력은 3A X 220V = 660 와트(W) 가 됩니다.

만일 같은 220V라도 면도기에 꼽게 되면 면도기에는 전류가 적게 흘러 W가 작아진다는 것도 생각할 수 있죠? 면도기는 드라이기에 비해 그래서 소비전력이 작습니다.

 

110V 220V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전기를 나타낼 때는 전압(볼트)와 전류(암페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전압이란 사람의 키에 해당하고 전류는 근육의 힘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나무가지에 달려있는 열매를 딴다고 할 때 아무리 힘(전류)이 세어도 키(전압)가 작으면 안되고 키가 커도 그 열매를 딸 수 있는 힘 없으면 안되는 것이다.


전압, 전류, 전력에 대해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이를 이해 하기 위해서는 물이 흐르는 수로와 비교하면 이해하기 좋습니다.

 

아래 그림의 오른쪽은 물이 흐르는 수로입니다. 물이 흐르는 수로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이때 수로 바닥에서 느끼는 수압의 크기는 물이 수로에 얼마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물의 높이인 것이지요

 

물이 흐르는 양은 수로의 크기가 얼마나 큰지에 달려 있습니다. 또한 수로가 흘릴 있는 물의 양인 수량은 수압에 수로의 크기를 곱한 값이 됩니다.



그러면 이제 전압, 전류에 대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에도 수로와 같은 개념의 전압, 전류, 전력량이 존재합니다.

 

전선에 얼마나 높은 전기 압력이 가해졌느냐가 전압이며, 수로에 비유한다면 물의 높이인 수압입니다.

전류는 전기가 전선에 흐르는 양이며, 수로에서는 수로의 크기가 이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전선에 얼마나 전기가 흘렀냐는 전력량은 전압에 전류를 곱해서 산출됩니다.

 

이처럼 전압, 전류, 전력량을 수로에 비유해 이해하면 무척 좋습니다.

통상 전압은 볼트(Volt), 전류는 암페어(Ampere), 전력량은 와트(Watt)라는 단위로 나타냅니다.


 

 

 

전압과 전류의 관계 
 
건전지와 같이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일정하게 나오는 전기를 직류(DC)라 하고 가정용 상용 전기처럼 플러스 마이너스가 연속적으로 바뀌는 전기를 교류(AC)라고 한다. 직류든 교류든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같이 성립한다 





직류와 교류의 파형 모양


가정용 전기는 각 나라마다 사용하는 전압이 다르다

우리나라는 110 볼트만 사용하다가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220 볼트로 전환시키고 있으나 100 볼트용 가전제품이 너무 많이 보급되어 있는 관계로 현재는 110 볼트와 220 볼트를 같이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전압을 잘못 알고 사용하다가 가전제품을 버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품의 정격전압과 플러그의 모양에 따른 전압을 잘 알고 사용하여야 한다.

일본의 경우 현재 100 볼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 120 볼트, 영국 240 볼트, 북한 220 볼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교류는 플러스 마이너스가 교대로 바뀐다고 했는데 1초당 교번되는 숫자를 주파수 (헤르쯔 : Hz)라 하며 우리나라, 일본, 미국등 아시아 아메리카에서는 60 Hz를 영국등 유럽에서는 50 Hz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국 제품사용시 전원 전압 및 주파수를 고려하여야 한다.


2) 전기의 공급과정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변압되어 154,000 볼트로 송전선을 타고 도시근교의 변전소에 도달하여 수천볼트의 전기로 변압되어 동네의 전봇대에 있는 변압기에서 110 볼트 또는 220 볼트로 변환되어 가정에 공급되게 된다.

 


발전된 전기의 공급과정



3) 가전제품이 *** 와트라는 것은?

전기가 한 일의 양을 나타내는데는 와트(Watt)라는 단위를 쓰는데 전압이 아무리 높더라도 전류라는 힘이 없거나 전류가 아무리 세더라도 전압이라는 크기가 없으면 아무런 일도 할 수가 없다. 전압 전류 두 가지가 조화가 될 때 전기가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전압과 전류의 곱이 와트로 표시되며 예를 들어 커피폿트의 소비전력이 500와트라고 하는 것은 한시간 동안 작동시켰을 때 소모되는 전기의 양으로 말하는 것으로서 30분을 작동 시켰다면

와트=500와트*시간=250와트

로 사용하는 시간에 따라서 소비되는 전력은 틀려진다.

4) 110볼트 220볼트 겸용/혼용

예전에 우리나라의 전기제품은 100볼트 전용이었으나 요즘의 전기제품은 110볼트와 220볼트를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생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겸용제품이라고 하면 전환 스위치가 있어 110이나 220으로 전환을 하고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일반 사용자가 겸용이란 말만 듣고 전압전환 스위치가 이 110 볼트로 된 상태에서 220 볼트에 사용하여 가전기기가 고장 나는 경우가 있다. 가정에 110 볼트와 220 볼트가 같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가전제품을 하나의 사용 전압으로 통일을 시키든지 플러그의 아답터를 고정시켜서 잘못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요즘 편리한 방식의 하나로 프리볼트(Free Volt)라 불리 우는 것으로 110 볼트 220볼트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여도 자체 내장되어 있는 전자회로가 이를 감지 하도록 되어 있는 가전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출처 : londonia
글쓴이 : KT Lee 원글보기
메모 :